학력사항
1993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95
한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2008
코넬대학교 ILR School (박사)
주요경력
2024.1-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생부학장
2015.3-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09.1-2015.2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King’s College London) 경영학과 조교수
2007.1-2009.12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1995.1-1999.12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연구원
연구실적
- 2020. “Categorical Matching as an Organizational Condition for Gender Inequality in the Korean Labor Market” Sociological Perspective 63(1): 29~49. With Y. Kim & H. Kwon.
- 2019. 관리직 기혼여성의 장시간 노동과 경제활동 열망: 직무만족도, 일생활 갈등, 일지향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산업관계연구 29(4) 문지선과 공저
- 2019. 어떤 대중음악가들이 지속적 예술활동을 전망하는가? : 안정적 예술활동 전망에 있어 사회자본의 효과. 노동정책연구 19(3) 양종민 김서경과 공저
- 2019. 위기 속 노동시장 진입 세대의 노동이동을 통해 본 위기 후 한국 여성노동시장.한국여성학 35(1) 김이선 이상직과 공저
- 2018. “What Makes Them Dream on? The Influence of Social and Psychological Assets on Young Musicians’ Decision to Stay in the Profession”. Development and Society 47(3). with S. Kim & J. Yang
- 2018.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 남녀 대졸자 노동이력으로 본 위기 전후 한국 청년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 경제와 사회 118. 이상직, 김이선과 공저
- 2018. 여성변호사 경력구축 과정에서의 젠더불평등. 한국여성학 34:2. 권혜원과 공저
- 2017. 연공성 임금을 매개로 한 조직내 관계적 불평등: 내부자-외부자 격차에 대한 분석. 산업노동연구 23:2. 함선유와 공저
- 2017. 돌봄직 종사자의 저임금 기제 연구. 산업노동연구 23:3. 함선유와 공저
- 2016. “Divergence in Women’s Employment in Korea and Japan: What Shapes the Different Patterns around Childbirth?”, Development and Society, 45:3. with J. Nishimura
- 2016. 사업체별 재해빈도에 대한 노동조합 효과 :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종단분석. 산업관계연구 27:2 김우영과 공저
- 2016. 대학 청소 용역 서비스 작업조직 내 범주적 불평등의 지속과 균열. 산업관계연구 27:2 권혜원과 공저
- 2015. 저임금 서비스 노동시장의 젠더 불평등. 경제와 사회 107 김영미,권혜원과 공저
- 2015. “Changing Industrial Relations and Labor Market Inequality in Post-Crisis Korea”, Development and Society 44:3.
- 2015. Cross-border Hybridization of Employment Practice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a Korea based manufacturer in China, in D’Costa, A. (ed.) After Development Dynamics, Oxford University Press, with S. Cho.
- 2014. 정규직-비정규직의 연대정치. 한국사회학 48집 4호. 이병훈, 홍석범 공저
- 2014. “Coordinated Divergences: Changes in collective bargaining systems and their labor market implications in Korea” in Hauptmeier, M. & M. Vidal, The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of Work and Employment Relations. Palgrave. with S. Lim
- 2014. “전문직종 사례연구: 법률서비스산업”, 배규식 외. 노동시간과 일생활균형, 한국노동연구원
- 2013. “It’s all in the mix: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workforce blending in call centers” Human Relations. Vol. 66. No. 8. with D. van Jaarsveld
- 2012. “동아시아 신흥 선진국의 여성고용: 한국과 대만 비교” 한국여성학 28: 1 정이환, 김영미와 공저
- 2011. A Korean country report for the European Commission’s project on socially responsible restructuring: Comparative overview analysis of the ways in which the restructuring phenomenon is dealt with worldwide. European Commission
- 2011. “은행산업의 장시간 노동체제”, 배규식 외., 장시간 노동과 노동시간단축- 장시간 노동 실태와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 2010. “Employer Strategies and Wages in New Service Activities: A Comparison of Coordinated and Liberal Market Economies.”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Vol . 48. No. 2. with Batt, R.& H.Nohara
- 2009.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har
- <연구보고서, 공동발간 서적 등의 일부>
- 미래의 직업: ICT 산업 프리랜서. 연구보고서(공저).한국노동연구원. 근간.
- “호모마키나 시대 노동의 미래와 일터 변화” 한소원 외, 호모마키나: 기계와 함께하는 인간의 미래.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총서 시리즈. 근간.
- “주요노동동향과 이슈페이퍼. 한국의 사회동향 각년도 (2015-2019) 통계청통계개발원
- “노동시장의 변화와 청년세대 젠더갈등” 강원택 외.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 푸른길. (2018)
- 디지털기술변동과 노동의 변화. 연구보고서 (공저) 한국노동연구원. (2017)
- “산업화 이후 한국 노동 체제 변동과 노동자 의식 변화” 장덕진 외. 압축성장의 고고학: 사회조사로 본 한국 사회의 변화, 1965~2015. 한울 (2015)
- “Cross-border Hybridization of Employment Practice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a Korea based manufacturer in China”, in D’Costa, A. (ed.) After Development Dynam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with Cho. S.
- “Coordinated Divergences: Changes in collective bargaining systems and their labor market implications in Korea” (S. Lim) in Hauptmeier, M. & M. Vidal, The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of Work and Employment Relations. Palgrave.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