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
서울대 사회학과 졸업
1996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 (석사)
2005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 (박사)
2025.1 – (현)
2024.9 – 2025.2.
서울대 사회학과 학과장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2021.10 – (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학술연구부장
2021.3 – (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2021.3 – (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센터장
2020.10 – (현)
서울대 일본연구소 『일본비평』 편집위원
2020.1 – 2020.12
도시사학회 부회장
2019.7 – (현)
『서울과역사』 편집위원
2019.2 – 2021.1.
광운대 글로컬교육센터 센터장
2018.2 – 2021.1.
광운대 인제니움학부대학 학장
2018.2 – 2020.2.
한국사회사학회 부회장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일반연구원
2017.1 – 2017.12.
한국사회학회 연구이사
2015.1 – 2016.1.
2014.1 – 2014.12.
한국사회학회 국제이사
2013.1 – 2016.12.
『한국사회학』 편집위원
2013.1 – 2014.12.
도시사학회 총무이사
2012.1 – 2014.12.
한국사회사학회 운영위원장
2010.11 – 2017.8.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공동연구원
2009.1 – 2010.12
『도시연구』 편집위원장
2008.3 – 2021.2.
광운대 인제니움학부대학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08.1 – 2011.12.
『사회와역사』 부편집위원장
2007.9 – 2008.2.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2006.9 – 2007.2.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과 시간강사
2005.9 – 2007.8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선임연구원
2002.4 – 2003.3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 인간환경학연구과 외국인공동연구자
1997.9 – 1998.8.
서울대 사회학과 조교
논문
-
- 2024. 「다핵 메가시티 서울의 형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서울학연구』 97.
- 2023. 「귀환, 수용, 분산―미군정기 전재민의 남한 유입과 인구 분산 정책의 전개」 . 『도시연구』 32. (전가람과 2인 공저)
- 2020. 「1990년대 수도권 형성과 한국 도시성의 전환」. 『사회와역사』 127.
- 2020. 「구술로 본 로스앤젤레스 한인 노숙인의 생애와 의식」. 『도시연구』 24.
- 2020. 「금강산의 식민지 근대-1930년대 금강산 탐승 경로와 장소성 변화」. 『역사비평』 131.
- 2019. 「1960년대 재일상공인의 모국투자와 공업단지 형성-구로, 마산, 구미의 사례 비교」. 『공간과사회』 68.
- 2018. 「소수민족 혼성 거주지에서 초국적 개발주의의 거점지로-로스앤젤레스 한인타운 변천사에 대한 공간사회학적 연구」. 『사회와역사』 120.
- 2018. 「「오감도 시 제1호」와 이상(李箱)이라는 페르소나의 이중성-식민지 근대 시공간의 다차원적 조감도로서 이상 시 읽기」. 『민족문학사연구』 67.
- 2017. 「일본의 공업 대도시에 형성된 한인 디아스포라 집주공간-오사카(大阪)와 가와사키(川崎)의 사례 비교」. 『사회와역사』 113.
- 2017. 「강남 개발과 올림픽 효과-1970~80년대 잠실 올림픽타운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17.
- 2017. 「만주사변 이후 일본의 동해군용정기항로의 설치와 운용」. 『島嶼文化』 49. (이규태와 2인 공저)
- 2014. 「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제국 일본의 식민지 철도관광에 대한 이론적 검토」. 『사회와역사』 102.
- 2014. 「제국 일본의 선만(鮮滿) 공식 관광루트와 관광안내서」. 『일본역사연구』 39. (조정우와 2인 공저)
- 2013. 「4.19와 5.16의 공간사회학-1950~60년대 서울의 도시공간과 광장정치」. 『서강인문논총』 38.
- 2013. 「한말∼일제하 동해의 포경업과 한반도 포경기지 변천사」. 『島嶼文化』 41.
- 2011. 「식민지 유산과 현대 한국 도시변동」. 『도시연구』 5.
- 2011. 「식민지 시기 한국 도시사 연구의 흐름과 전망」. 『역사와현실』 81.
- 2011. “Korean Studies between the Social Sciences and Historical Studies-Debates over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Korea Journal 51-3.
- 2011. 「식민권력과 광장공간-일제하 서울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사회와역사』 90.
- 2010. 「京城の都市衛生問題と上下水道の空間政治」. 『環日本海研究年報』 17.
- 2009. 「한신대지진과 일본 다문화 커뮤니티의 변화-고베시 나가타구의 사례」. 『도시연구』 2.
- 2009. 「식민지 동화주의의 공간정치-조선신궁의 건설과 활용을 중심으로」. 『인천학연구』 11.
- 2009. 「식민 지배와 헤게모니 경쟁-조선총독부와 미국 개신교 선교세력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와역사』 82. (박명규와 2인 공저)
- 2009. 「천황제제국의 팽창과 일본적 근대의 기획-일본형 식민지도시의 특성에 대한 비교사적 분석」. 『도시연구』 1.
- 2008. “Ruptures and Conflicts in the Colonial Power Bloc-The Great Keijo Plan of the 1920s”. Korea Journal 48-3.
- 2008. 「학살과 내전, 공간적 재현과 담론적 재현의 간극-거창사건추모공원의 공간 분석」. 『사회와역사』 78. (김민환과 2인 공저)
- 2007. 「상징공간의 변용과 집합기억의 발명-서울의 식민지 경험과 민족적 장소성의 재구성」. 『공간과사회』 28.
- 2007. 「오키나와 도시공간의 문화적 혼종성-나하(那覇)시 국제거리의 역사성과 장소성」. 『일본연구논총』 25.
- 2007. 「제국의 스펙터클 효과와 식민지 대중의 도시경험-1930년대 서울의 백화점과 소비문화」. 『사회와역사』 75.
- 2006. 「서양의 모방과 전통의 변용-일본 근대도시 형성과정의 이중적 경향」. 『일본연구논총』 23.
- 2006. 「개항기 서양 지식인들의 서울 인식」. 『향토서울』 68.
- 2005. 「러일전쟁 직후 서울의 식민도시화 과정-비교식민지도시사적 고찰」. 『지방사와지방문화』 8-2.
- 2003. 「왕조 수도로부터 식민도시로-경성과 도쿄의 시구개정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학보』 112.
논저
- 2025. 『역사 속 서울 사람들의 살아남기』. 서울역사편찬원.(10인 공저)
- 2024. 『미군정기 귀환자 아카이브 현재화』. Asteroid Book.(4인 공저)
- 2022. 『노량진, 삶의 환승지대 도시화의 전이지대』 . 서울역사박물관.(22인 공저)
- 2021. Toward Democracy: Sou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1945–1980.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공저)
- 2021. 『장위동, 도시 주거 변천의 파노라마』 . 서울역사박물관.(18인 공저)
- 2020. 『서울, 권력 도시: 일본 식민 지배와 공공 공간의 생활 정치』. 산처럼. (4인 공역)
- 2020. 『일과 생활세계: 1세들의 공간·노동·젠더』. 한울아카데미. (3인 공저)
- 2020. 『’모국공헌’의 시대: 재일상공인과 한국 경제』. 한울아카데미. (3인 공저)
- 2019. 『대한민국 인권 근현대사 3: 차별과 혐오를 넘어, 포용과 연대를 향하여』. 국가인권위원회. (16인 공저)
- 2018. 『서울은 소설의 주인공이다: 소설 속 1950~60년대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9인 공저)
- 2018. 『외환위기 이후 20년 한국 사회구조와 생활세계의 변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1인 공저)
- 2017.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 하기: 투기 지향 도시민과 투기성 도시개발의 탄생』. 동녘. (13인 공저)
- 2017. 『서울사회학: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나남. (편저, 6인 공저)
- 2017.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 아카이브』. 일민미술관. (25인 공저)
- 2016. 『사회사/역사사회학』. 다산출판사. (편저, 16인 공저)
- 2016. 『수원학: 지리·역사』. 수원시정연구원. (11인 공저)
- 2015. 『서울 2천년사 30: 일제강점기 서울 도시문화와 일상생활』. 서울역사편찬원. (8인 공저)
- 2015. 『서울 2천년사 26: 경성부 도시행정과 사회』. 서울역사편찬원. (8인 공저)
- 2014. Seoul, Seoul, Seoul. Hollym International Corp. (9인 공저)
- 2014. 『수원의 도시공간과 도시구조』. 수원시사편찬위원회. (8인 공저)
- 2013.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근대도시 형성』. 심산. (6인 공저)
- 2013. 『근대 제국과 만난 인천: 충돌과 변화』. 글로벌콘텐츠. (8인 공저)
- 2012. 『지식의 현장 담론의 풍경: 잡지로 보는 인문학』. 한길사. (12인 공저)
- 2012. 『고도의 근대』. 동국대학교출판부. (12인 공저)
- 2012.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책세상. (23인 공저)
- 2011. 『도시는 역사다』. 서해문집. (10인 공저)
- 2010. 『植民地朝鮮と帝國日本: 民族ㆍ都市ㆍ文化』. 東京: 勉誠出版. (12인 공저)
- 2010. 『고속도로의 인문학』. 한국도로공사. (19인 공저)
- 2010. 『다문화사회 일본과 정체성 정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8인 공저)
- 2009. 『지배와 공간: 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단독)
- 2009. 『도시공간의 형성 원리와 도시민의 삶』. 메이데이. (6인 공저)
- 2009. 『기억과 전쟁: 미화와 추모 사이에서』. 휴머니스트. (19인 공저)
- 2008. 『경계의 섬, 오키나와: 기억과 정체성』. 논형. (13인 공저)
- 2007.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이음북스. (13인 공저)
- 2006.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 문화과학사. (14인 공저)
- 2003. 『사회이론과 사회변혁』. 한울. (15인 공저)
- 1997. 『근대성의 경계를 찾아서』. 새길. (6인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