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경찰대학교 행정학 (학사)
2012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 (석사)
2017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 (박사)
2017.11-현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연구」 편집위원
2017.6-현재
경찰청 외사자문위원
2018.9-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부교수
2019.11-현재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
2020.1-현재
여성가족부 자체규제개혁위원회 위원
2020.5-현재
경찰청 여성안전정책 자문위원
2020.6-현재
법무연수원 검사 국외훈련 연구결과 심사위원
2021.1-현재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운영자문위원
2021.3-현재
정의당 젠더폭력대응센터 자문위원
2019
한국여성학회 연구위원장
2020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장
2016.7-2018.8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2014.3-2018.8
경희대, 인하대, 명지대 강사
논문
2021, “아동학대에 대한 젠더 분석”, 「형사정책연구」, 겨울호
2021, “청년 남성들의 젠더 인식 다층성”, 「한국여성학」, 37(4)
2021, “‘피해자’ 의미의 교란: 안전, 고통, 권리 담론이 페미니즘에 미친 효과와 과제”, 「한국여성철학」, 36(1)
2020, “The Spread of Feminism and the Silence of Gendered Militarism in the Neoliberal Era: Controversy Over Military Conscription Among Members of the Young Gener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ASIAN SOCIOLOGY
2019, “성별화 된 조직의 결과물로서 법 집행”, 「젠더와 문화」, 12(2)
2019, “페미니즘 ‘들’: 변화, 위해, 소통의 경험들”, 「여성학논집」, 36(1)
2018, “여자 혼자 장사하기: 범죄 ‘기회’ 차단을 위한 젠더화 된 사업전략과 효과”, 「한국여성학」, 34(1)
2018, “박정희 정권의 ‘사회악’ 호명: 형사사법의 효율성 확보전략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117
2017, “엄벌주의 보편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형사정책연구」, 28(2)
2017, [공저] “성폭력 피해의 특성에 따른 피해자의 성폭력 통념 경험”, 「피해자학연구」, 25(2)
2017, [공저] “가해자와의 관계가 피해자의 성폭력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 성폭력 통념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48
2016, “성/폭력 중층피해와 젠더”, 「한국여성학」, 32(4)
2014, “‘성폭력을 엄벌하다’, 2000년대 성폭력 정책담론의 구조와 효과”, 「한국여성학」, 30(3)
2013, “‘강간’과 ‘계간’ 사이: 군형법상 ‘강간과 추행의 죄’의 법 담론”, 「한국여성학」, 29(3)
논저
<공저>
2021,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사월의책
2021, 「미투가 있다/잇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절멸과 갱생 사이: 형제복지원의 사회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마스크가 말해주는 것들」, 돌베개
2019, 「누가 여성을 죽이는가」, 돌베개
2018, 「재외국민의 범죄피해 지원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7, 「혐오표현의 실태와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6, 「전국범죄피해조사6: 상업범죄피해조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6, 「성·사랑·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공역>
2021, 「범죄학과 사회이론」, 두번째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