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사회연구: 동향과 쟁점(1998)

목 차   1. 문제설정   2. 북한사회 각 분야별 연구현황 (1) 연구방법론 (2) 계급정책 및 현황 연구 (3) 일상생활 연구 (4) 여성 및 가족 문제   3. 쟁점과 전망   참고문헌

푸코의 미시정치학에서 권력과 저항의 문제: 계보학적 연구의 난점에 대하여(1997)

목 차   0. 예비적 서론   1. 머리말   2. 근대 비판의 문제설정   3. 권력의 미시정치학 (1) 담론에서 권력으로 (2) 미시정치학의 대상 (3) 권력에 관한 몇 가지 새로운 명제   4. 권력과 국가 (1) 통치의 문제설정 (2) 근대국가와 사목권력   5. 권력이론의 궁지   6. 결론: 미시정치학의 아포리아   참고문헌

사회적 시간/공간의 근대적 구조에 관한 연구(1997)

목 차   0. 머리말   1. 시간/공간과 생활양식   2. 역사적 선험성으로서 시간과 공간 (1) 선험성으로서 시간/공간 (2) 시계와 시간 (3) 역사적 선험성   3. 분석의 두 가지 차원   4. 근대 과학의 시간/공간 개념 (1) 근대과학의 이념과 절대시간 (2) 근대과학에서의 시간/공간의 개념   5. 근대 사회의 시간-기계와 공간-기계 (1) 근대적 시간-기계의 형성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