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권력과 도시공간: 식민도시 연구의 흐름과 쟁점(2004)
.목 차 1. 머리말 (1) 식민도시에 있어서의 '근대성'과 '식민성' (2) '식민도시'의 개념화 2. 식민도시론의 역사적 전개 (1) 유형론적 접근: 근대화론과 제3세계도시론 (2) 세계체제론적 접근: 정치경제학적 연구와 비교문화적 연구 (3) 탈근대론적 접근: 근대권력에 대한 급진적 비판 3. 식민도시 연구의 쟁점들 (1) 입지와 기능: 식민도시, 제국, 세계체제 (2) 권력과 공간: 식민권력과 건조환경 (3) 지배와 […]
‘일본적 근대‘의 형성: 근대 일본 도시사회 변동의 세 가지 경향(2004)
목 차 1. 머리말 (1) 일본 근대도시사 연구의 흐름 (2) 두 가지 문제의식과 세 가지 문제설정 2. 모방된 근대: '서양화'의 이상 (1) 상징도시 도쿄: '조약개정'이라는 목표 (2) 도시빈민의 타자화: '문명개화'의 길 (3) 토지개혁과 도시계획: '부국강병'을 위하여 3. 전통적 유산과 그 변용: '일본화'의 메커니즘 (1) 제도와 조직: '초닌'사회에서 '시민'사회로 (2) 토지와 공간: 조카마치의 […]
현대 형벌이론의 탐색(2003)
목 차 제1부. 현대사회에서의 형벌의 위기 1. 들어가는 말 제2부. 행형철학의 논쟁: 형벌의 목표 2. 결과주의(공리주의) 행형철학 3. 비-결과주의(응보주의) 행형철학 4. 결과주의와 응보주의의 결합 (1) 정당한 응보와 억제: 한계 내의 범죄감소 (2) 응보와 사회복귀: 권리를 기본으로 한 개혁 (3) 공리주의 이론과 응보주의 이론의 통합 (4) 정의를 위한 투쟁: […]
사회운동론의 두 가지 흐름: 비교 및 종합화의 모색(2003)
목차 1. 서론 (1) 시선과 관심 (2) 비교분석의 방향 2. 자원동원론 (1) 개요 (2) 자원동원론의 형성과정 및 주요 이론가 a. 자원동원론의 이론적 토대로서의 올슨의 합리적 선택이론 b. 경제사회학적 자원동원론: 맥카시와 졸드 c. 정치사회학적 자원동원론: 틸리와 오버샬 (3) 자원동원론의 일반적 특성 a. 분석시각 b. 운동의 특성에 대한 분석 (4) 자원동원론에 대한 비판 3. […]
시장의 일반이론과 현실, 그리고 변동: 현단계의 쟁점들과 역사적 함의(2003)
목 차 0. 들어가는 말: 시장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의 필요성 1. 혼성적 장소로서의 시장 2. 시장의 정의를 둘러싼 문제들 (1) 장소 없는 시장과 장소 제약적 시장 (2) 시장과 시장원리 (3) 교환과 시장, 그리고 시장경제 I부. 시장의 일반이론과 쟁점들 3. 경제학적 시장 이해의 요점과 문제점 (1) 고전 정치경제학에서의 시장: 아담 스미스와 칼 […]
식민지 근대성 연구의 성과와 쟁점(2003)
목 차 1. 들어가는 말: 식민성과 근대성의 관계 2. 근대성의 역사적 형성과 성격, 그 한계 (1) 근대라는 시대규정 (2) 두 가지 근대성: 사회역사적 근대성과 미학적/문화적 범주로서의 근대성 a. 사회역사적 근대성 b. 근대성의 경험들과 반응들: 근대화와 모더니즘의 변증법 (3) 근대성의 자기부정과 그 외부 3. 근대성의 식민지적 기원과 식민지 근대성 (1) 서구적 비판의 한계들 […]
사회이론의 역사성: 포스트식민주의론을 중심으로(2002)
목 차 ….
한국 (근대) 여성사 연구사: 개화기에서 식민지시기까지, 1990년대 이후 논의를 중심으로(2002)
…….
출산조절을 둘러싼 사회학, 인구학, 여성학적 논의들(2002)
목 차 1. 들어가는 말 2. 용어 및 용어법의 쟁점들 (1) 출산력통제 (2) 생식 또는 재생산 (3) 수태조절 (4) 출산조절 또는 '산아제한' (5) 가족계획 a. Planned Parenthood Movement b. 한국 가족계획사업에서의 '가족계획' 정의와 문제점 c. '가족계획'의 용어법들 (6) 인구통제 혹은 인구조절 a. 신맬더스주의적 관점에서의 '인구통제'의 사례 b. 역사적 실재로서의 '인구통제'에 대한 페미니즘적 개념화의 […]
‘젠더‘ 개념의 발전과 문화사회학의 문제의식(2002)
목 차 1. 들어가는 말 2. 젠더 개념의 발전 (1) 젠더의 도입: 섹스와 구분되는 성 정체성 (2) 젠더의 설명: 사회적으로 구성된 성차? (3) 여성성의 구성 과정에 대한 관심 (4) 수행성과 '인식의 틀'로서의 젠더 (5) 섹스/젠더 구분에 대한 의문 (6) '젠더'의 사용을 둘러싼 현재적 논쟁들 (7) 젠더 연구의 의의 3. 문화사회학의 흐름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