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인구 유입이 상해시 연령구조의 변환에 미치는 영향(2013)
『한국인구학』, 제 36권 제 2호
한국의 \”재한조선족\” 연구 현황(2013)
재외한인연구, 25호. 2011. 수록논문.
‘강간’과 ‘계간’ 사이 – 군형법상 “강간과 추행의 죄”의 법담론(2013)
한국여성학 제29권 3호. pp.147~180. 수록논문.
다산 정약용의 국가개혁론에 관한 한 해석 – 왕법을 통한 ‘전국 단위 사회‘의 관리(2013)
泰東古典硏究, Vol.28 No.-, 2012. pp.65-105.
한국사회의 베트남전쟁 기억과 참전군인의 기억투쟁(2013)
.
국제개발협력과 인권: 권리에 기반한 접근법(RBA) 수행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2013)
구정우, 김대욱, 『국제·지역연구』 22(4):35-74.
한국 체류 조선족 ‘단체‘의 변화와 인정투쟁에 관한 연구(2013)
경제와사회, 91호. 2011. 수록논문.
네덜란드의 지속가능 발전 모델: 사회적 협의를 통한 생태적 근대화(2013)
박치현, 구도완. ECO, 11권 2호. 2007. 수록논문.
유교와 사회(2013)
주전공 영역 전공연구논문. 2013.
내재하는 중국-다케우치 요시미에게 중국 연구란 무엇이었나(2013)
역사비평, 87호. 2009. 수록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