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이후 범죄사회학의 이론적 동향: 통합이론의 모색과 새로운 개념의 등장(1998)
목 차 1. 글을 시작하며 2. 기존의 주요한 이론적 논의 (1) 긴장이론: Merton의 아노미 이론 (2) 통제이론: Hirschi의 사회유대이론 (3) 학슴이론: Sutherland의 차별교제이론 (4) 낙인이론: Lemert의 이차적 이탈 (5) 비판 범죄론: 범죄와 계급지배
가족문제로서의 가정내 폭력에 대한 연구동향과 쟁점(1998)
목 차 1. 들어가는 말 (1) 사회변화와 가족제도 (2) 가족사회학과 가정폭력 (3) 논의의 순서 2. 가정내 폭력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사회심리학적 접근 (2) 가족사회학적 접근 (3) 페미니스트 사회학의 접근 3. 가정폭력의 탐구대상 (1) 가정폭력의 피해자 (2) 가정폭력의 형태 4. 몇 가지 쟁점과 논쟁 (1) '매맞는 여성 증후군'은 심리적 현상인가 (2) […]
영국 단체교섭연구와 노사관계이론에 대한 검토(1998)
목 차 1. 서론 2. 전통적인 세 가지 고용조건의 결정기제 (1) 상호부조제도 (2) 단체교섭 (3) 법제화 (4) 19세기 세 가지 고용조건 결제기제와 1980년대 이후의 노사관계 3. 전통적 노사관계: 단체교섭제도의 발달과 노사관계이론의 전개 (1) 단체교섭제도의 정착과 발전 (2) 다원주의 노사관계이론의 형성 4. 80년대 이후 단체교섭의 상대화와 새로운 이론적 접근 (1) 노동조합의 약화와 […]
서구 복지국가의 형성과 재편에 대한 이론연구 검토(1998)
목 차 1. 서론 2. 복지국가에 대한 전통적인 시각들 (1) 기능주의론 (2) 맑스주의적 입장 (3) 사민주의 입장 3. 복지국가론의 재편과정 (1) 새로운 이론지형의 형성: 좌파 복지국가론의 '위기' (2) 사민주의 시각의 재검토: 에스핑-앤더슨 (3) 맑스주의 시각의 재검토: 클라우스 오페 (4) 복지국가론의 재조명: 80년대 이후의 세 가지 시각 4. 복지국가연구의 새로운 영역들 (1) […]
법사회학(1998)
목 차 1. 주요저작 및 이론적 패러다임 (1) 법의 개념들 (2) 법의 진화 (3) 법의 기능 2. 법전문직 연구의 시각과 경험적 연구 (1) (법)전문직 연구의 시각과 경험적 연구 a. 전문직연구의 시각 b. 법전문직에 대한 경험적 연구 (2) 중국의 법체계와 법전문직에 대한 경험적 연구 a. 중국 법체계에 대한 연구 b. 중국 법전문직에 대한 연구 […]
중국사회학(1998)
목 차 1. 주요저작 및 이론적 패러다임 (1) (비교)체계론적 시각 a. 이익집단정치 b. 고객주의 c. 시장전환이론 d. 발전국가 (2) 중국특수적 시각 a. 정치문화 b. 국가건설접근 2. 중국사회학에서의 경험적 연구들: 교육사회학의 예 3. 대안적인 패러다임의 모색 참고문헌
조직민주주의론의 쟁점(1998)
목 차 1. 문제제기 2. 노조조직원리의 재편을 모색하는 논의 (1) 수직적 서열화의 재조정 (2) 분석단위와 실행단위의 결합 (3) 타 조직과의 관계조정 3. 단위노조의 '위임'원리에 대한 비판적 논의 (1) 위임원리의 개선 (2) 대안조직의 추구 4. 산별노조의 '위임'원리에 대한 비판적 논의 (1) 위임논리의 개선 (2) 대안조직의 추구 5. 조직민주주의 연구의 새로운 쟁점 […]
이익정치론의 쟁점(1998)
목 차 1. 문제제기 2. 정치를 이해하는 시각 (1) 이익집단간의 상호작용 (2) 엘리트 이론 (3) 계급론적 관점 3. 노동운동을 이익정치로 이해하는 시각 (1) 실리주의 (2) 코포라티즘 (3) 맑스주의 (4) 한국노동운동을 보는 시각 4. 이익정치비판 (1) 이익정치의 두 가지 모델 (2) 광의의 이익정치 5. 노동운동의 방향전환 참고문헌
정보화와 정보사회론의 전개: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1998)
목 차 1. 머리말 2. 정보 (1) 실체로서의 정보 (2) 과정으로서의 정보 3. 정보화 (1) 정보화의 정의 (2) 정보화의 전개 (3) 정보화의 단계 4. 정보사회 (1) 정보사회론의 지형 (2) 정보사회의 특징 a. 정보사회의 정의 b. 정보사회의 특성 (3) 정보사회와 자본주의 a. 자본주의로서 정보사회 b. 정보사회의 자본주의적 필연성 c. 자본주의의 정보적 재구성 […]
생태위기와 생태주의 사회이론의 전개: 1970년대 이후 서구의 논의를 중심으로(1998)
목 차 1. 머리말 2. 생태주의 사회이론 (1) 반동적 생태주의 a. 신맬더스주의 b. 신맬더스주의 비판 (2) 개혁적 생태주의 a. 생태사회주의 b. 생태맑스주의 (3) 근본적 생태주의 a. 심층생태주의 b. 사회생태주의 3.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