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교수진

김홍중 교수

Kim, Hong-Jung

전공사회이론. 미래 사회학. 문학과 예술의 사회학.
연구실16-1동 309호
연락처02-880-6413
이메일slimciga@snu.ac.kr
학력사항

1996.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98.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2005.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언어과학 (박사)

주요경력

2020.12 – (현)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

2019. 3 – 2021.6

Journal of Asian Sociology 편집위원장

2018. 9 – (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7. 1 – 2021.3

『사회와이론』 편집위원장

2015. 1 – 2016.12

『사회와이론』 편집위원

2013. 9 – 2018.8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2013. 8 – (현)

『사회사상과문화』 편집위원

2012. 7 – 2013.2.

대통령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세대분과 위원

2011. 12 – (현)

중민사회이론연구재단 이사

2010. 3 – 2013.8.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2009. 1 – 2016.1.

『문학동네』편집위원

2009. 1 – 2011.12.

『프랑스학연구』편집위원

2009. 9 – 2010. 2.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2007. 9 – 2009. 8.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전임강사

2007. 5 – 2008. 4.

『사회비평』편집위원

2006. 9 – 2007. 8.

연세대학교 BK 21 사회적 포섭과 배제 사업단 박사후 연구원

2005. 3 – 2005. 8.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시간강사

연구실적
논문
  • 2024. “민중과 페이션시. 오클로스에서 생태계급까지”. 『한국현대문학연구』72.
  • 2023. “인류세의 사회이론2. 울리히 벡과 브뤼노 라투르의 파국주의적 전회”. 『한국사회학』57(4).
  • 2023. “파국의 분열분석과 기관 없는 희망. 켈리 레이카트 시네마를 중심으로”. 『안과밖: 영미문학연구』55.
  • 2023. “소수적 이론의 힘. 라투르 사회이론과 신학의 어셈블리지”. 사회와이론』44.
  • 2023. “그림형제와 라투르. ANT 서사기계에 대한 몇 가지 성찰”. 문명과 경계6.
  • 2022. “21세기 사회이론의 필수통과지점.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이론”.사회와이론 43.
  • 2022. “플랫폼의 사회이론. 플랫폼 자본주의와 알고리즘 통치성을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41.
  • 2022. “가브리엘 타르드와 21세기 사회이론. 정동, 페이션시, 어셈블리지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56(1).
  • 2021. “페이션시의 재발견. 고프만과 부르디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55(3). (조민서와 공저)
  • 2020. “Rappers as hip-hopers: the remaking of authenticity and construction of the future by Korean underground rappers”.Journal of Youth Studies 23(10). (with Yunjoo Sung)
  • 2020. “코로나19와 사회이론: 바이러스, 사회적 거리두기, 비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54(3).
  • 2020. “고시패스의 욕망과 수험의 페이션시(patiency)”.『경제와사회』126. (김유하, 김정환, 류연미와의 공저)
    2019. “인류세의 사회이론 1. 파국과 페이션시(patiency)”.『과학기술학연구』19(3).
  • 2018. “Lack of Dream Capital among Korean Youth”. Development and Society 47( 3). (김석호 외 공저)
  • 2018. “Survivalist Modernity and the Logic of Its Government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Japanese Sociology 27(1).
  • 2017. “생존주의, 사회적 가치, 그리고 죽음의 문제”. 『사회사상과 문화』 20(4).
  • 2017. “사회적인 것의 다섯 가지 문제틀”. 『사회사상과 문화』 20(3).
  • 2017. “한국 청년세대의 꿈-자본 측정”. 『문화와사회』 24. (김석호 외 공저)
  • 2017. “부정자본론. 사회적인 것과 상징적인 것”. 『한국사회학』 51(3).
  • 2016. “청년 여성 프레카리아트의 얼굴 – 웹툰 <미지의 세계>를 중심으로”.『한국문화연구』 30.
  • 2016. “진정성의 수행과 창조적 자아에의 꿈”. 『한국사회학』 50(2).
  • 2015. “꿈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 부르디외와 벤야민을 중심으로”,『경제와사회』108.
  • 2015. “성찰적 노스탤지어. 생존주의적 근대성과 중민의 꿈”, 『사회와 이론』27.
  • 2015. “파우스트 콤플렉스. 아산 정주영을 통해 본 한국 자본주의의 마음”. 『사회사상과 문화』 18(2).
  • 2015. “힙합장, 힙합진정성, 그리고 상징투쟁”. 『문화와 사회』 18. (성연주와 공저)
  • 2015. “마음의 부서짐. 세월호 참사와 주권적 우울”. 『사회와 이론』 26. pp. 143-186.
  • 2015.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세대”. 『한국사회학』49(1).
  • 2014. “마음의 사회학을 이론화하기”. 『한국사회학』 48(4).
  • 2014. “L’ethique chamanique et l’esprit du neoliberalisme coreen”.Societes 122.
  • 2013. “Risk or Totem? Semantics of Child in Korean Risk Society”.Development and Society 42(2).
  • 2013. “사회로 변신한 신과 행위자의 가면을 쓴 메시아의 전투: 아렌트의 ‘사회적인 것’의 개념을 중심으로”.『한국사회학』(47-5).
  • 2013. “사회적인 것의 합정성을 찾아서”.『사회와 이론』(23).
  • 2012. “소명으로서의 분열 – <사당동 더하기 22>가 사회학에 제기하는 문제들”.『문화와 사회』(12).
  • 2012. “Modernite vaporeuse et imagination detruisante”.Societes N°115.
  • 2011. “미디어 스케이프와 모바일 성찰성”. 『문화와 사회』 (10).
  • 2009. “Specter, Rhizome and Bridge. Kim Su-yeong’s View of Tradition”. Korea Journal(49-3).
  • 2009. “이론가는 왜 바보여야 하는가?”.『사회와이론』(15-2).
  • 2009. “육화된 신자유주의의 윤리적 해체”.『사회와이론』(14-1).
  • 2009. “근대 문학 종언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사회와역사』(83).
  • 2009.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한국사회학』(43-5).
  • 2008. “실재에의 열정에 대한 열정”.『문화와사회』(4). (심보선과 공저)
  • 2008. “골목길 풍경과 노스탤지어”.『경제와사회』(77).
  • 2007. “근대적 성찰성의 풍경과 성찰적 주체의 알레고리”.『한국사회학』(41-3).
  • 2007. “발터 벤야민의 파상력(破像力) 연구”.『경제와사회』(73).
  • 2006. “문화적 모더니티의 역사시학”.『경제와사회』(70).
  • 2006. “멜랑콜리와 모더니티”.『한국사회학』(40-3).
  • 2005. “문화사회학과 풍경의 문제”. 『사회와이론』(6-1).
  • 2005. “한국 모더니티의 기원적 풍경”.『사회와이론』(7-2).
  • 논저
  • 2024. 서바이벌리스트 모더니티』. 이음.
  • 2024. 『세계에 대한 믿음』. 문학과지성.
  • 2021. “꿈을 증여하는 사회에 대한 감각”. 강정한 외. 『서울의 미래세대』. 서울연구원.(공저 with 조민서)
  • 2020. 은둔기계. 문학동네.
  • 2018. “꿈의 사회학 서설”. 『꿈의 사회학』. 박명규, 김홍중 편. 다산.
  • 2018. “중국몽의 도상학”. 『꿈의 사회학』. 박명규, 김홍중 편. 다산. (공저 with 주윤정)
  • 2016. 『사회학적 파상력』.문학동네.
  • 2016. “한중일 청년세대의 얼굴을 읽다”. 『아시아는 통한다』. 이재열 편. 진인진(공저).
  • 2015. “후기 근대적 전환과 생존적 개인주의”. 정림건축문화재단.『협력적 주거공동체』. 프로파간다. (공저)
  • 2014. “그럼 이제 무얼 부르지”. 『눈먼자들의 국가』. 김애란 외 공저. 문학동네.
  • 2013. “제 7장: 후기근대적 전환”. 『현대사회학이론』. 다산. (공저)
  • 2012. “미완의 고찰: 발터 벤야민, 『아케이드 프로젝트』 (1982)”. 전재성 외. 『사회과학명저 재발견 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 2012. “제9강 공간의 생산, 재현, 그리고 체험”. 박선웅 외.『문화사회학』. 살림. (공저)
  • 2009.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 비평
  • 2024. “종말론적 수행성”. 염지혜, <마지막 밤>. 프라이머리 프랙티스 프레스.
  • 2024. “내가 미래를 보는 눈으로 미래는 나를 바라본다”. <Watch & Chill 3.0. 서스펜스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 2023. “붕괴와 추앙 사이. <헤어질 결심>과 <나의 해방일지>에 대하여”. 『뉴래디컬리뷰』 8.
  • 2021. “전쟁기계 혹은 기괴천사. 양혜규 미학에 대한 몇 가지 성찰”. 문학동네 107.
  • 2021. “<오징어게임>에 대한 몇가지 상념들”. 『기본소득』 10.
  • 2018. “<버닝>에 대한 몇 가지 성찰들”. 『문학동네』 96.
  • 2014. “탈존주의의 극장. 박솔뫼 소설의 문학사회학”. 『문학동네』(79).
  • 2013. “기생 혹은 죽음의 불가능성. <무진기행>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 『문학동네』 76.
  • 2012. “신경숙 문학의 몇 가지 모티프들”. 『문학동네』 70.
  •  
  • 에세이
  • 2023.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것들에 대한 애도”. 보스토크』 39.
  • 2023. “어느 독서인의 어수선한 회상”. 출판문화684.
  • 2023. “재앙과 맞서기”.대산문화87.
  • 2022. “기후의 느낌”. 긋닛 2.
  • 2021. “한국 모더니티의 야성”. 도무스 코리아 11.
  • 2021. “인간 너머의 얼굴들”. 도무스 코리아 9.
  • 2020. “인류세의 관점에서 본 2020년의 세계”.『기본소득』5.
  • 2019. “바이러스 기호학”. 『문학동네』 100.
  • 2013. “야구, 그 죽음의 기록에 대한 매혹”. 『문학동네』(77).
  • 2012. “미래의 미래”. 『문학동네』 71.
  • 2009. “카프카와 손담비”. 『문학동네』 60.
  • 2008. “스노비즘과 윤리”. 『사회비평』 39.
  • 2007. “삶의 동물/속물화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귀여움”. 『사회비평』 36.
  •  
  • 번역
  • 필립 스미스, 알렉산더 라일리. 2025. 문화이론. 사회학적 접근. 7장 “포스트구조주의적 전환”. 이학사.
  • 2013. 부르디외, “사회학을 찬미하다”.『한국사회학』47(1).